기발표작/바다 천년의 바람 2015. 10. 29. 15:10
1. 1미터 30센티의 부시리 작년 여름, 지깅낚시를 처음 시작하고 아직 손에 익지 않을 때 일이다. 그때도 동생과 함께 아버지의 작은 보트를 빌려 타고 배낚시를 갔다. 범섬 옆 포인트에 보트를 세우고는 바로 낚시를 시작했다. 동생은 슬로우지깅을, 나는 인치쿠를 이용해 바닥고기를 노리고 있었다. 드문드문 쏨뱅이와 구문쟁이가 인치쿠에 걸려 올라왔다. 동생은 긴 시간동안 열심히 저킹을 하고 있었지만 작은 고기 한 마리 입질을 받지도 못했다. 날이 저물어 갈쯤 조용하던 동생의 입에서 환호성이 터졌다. "왔어, 왔어!" 드디어 기다리던 입질을 받은 것이다. "뭐야, 뭐? 커?" 지그에 입질을 받은 것이니 대형어인 방어나 부시리 둘중 하나일 것이다. 낚시대의 휨새로 보아 만만한 녀석이 아니라는 것을 짐작했다. "..
기발표작/바다 천년의 바람 2015. 10. 29. 11:19
2년전 직장 발령으로 경기도 산골에 살때 알게 돼 동생 삼은 친구가 있다. 그 친구의 꿈은 제주도 정착이었다. 10월초, 술 한 잔 하자는 연락이 왔다. 서귀포시 예래마을 구석에 월셋방을 얻어 다섯식구가 담아들었다. 형님 하나만 믿고 일단 저질렀으니 잘 살펴달라는 협박성 부탁이었다. 지난 여름에 사전답사차 내려왔을때 내가 걱정말고 내려오기만 하라고 큰소리 뻥뻥 쳤던 탓이다. 당장 도와줄 게 없었다. 술 한 잔 하며 걱정을 달래주는 것, 조금의 제주살이에 대한 경험을 들려주는 것 뿐이었다. 도움이랄 것이 없었다. "그래도 생선만큼은 확실하게 먹여줄 수 있다. 쉬는 날마다 낚시를 다니며 공치는 날도 있긴 하지만 나눠줄 것이야 마련 못하겠는가. 내, 바닷고기는 확실하게 잡아다 줄께~" 하고 또 큰 소리를 쳐놓..
기발표작/바다 천년의 바람 2015. 7. 27. 16:05
법환동 막숙포구에서의 배낚시와 갯바위 고망낚시에 대해 모자란 글을 올렸습니다. 글 중에 낚아올리는 어종에 대한 설명이 간간히 있었습니다만 종합적인 어종과 포인트 및 출조시기에 대해서는 모자람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정리차원 이에 대한 글을 올립니다. 1. 생미끼 생활낚시 법환동 앞바다 배낚시는 보통 두 가지 출조로 이루어집니다. 생미끼를 이용하는 쏨뱅이(제주도 현지어- 우럭)·용치놀래기(제주도 현지어 - 어랭이) 낚시와 부시리 등 대형어를 노리는 지깅낚시입니다. 쏨뱅이낚시는 주로 생활낚시 형태로 반찬거리나 소일거리로 대부분의 마을주민들이 낚시를 합니다. 생계를 위해 전문적인 우럭주낙을 놓는 어선도 있습니다. 낚이는 어종으로는 쏨뱅이, 용치놀래기, 쥐치(제주도 현지어-객주리), 월치(달고기)가 있습니다. 1..
기발표작/바다 천년의 바람 2015. 2. 17. 18:51
다섯 오누이중 막내로 유일한 남동생이 하나 있다. . 동생과는 형제라는 관계를 포함한 세가지 공통분모랄까 관심사가 있었다. 아홉살 터울로 늘 어린아이 다루듯 해왔지만 동생이 결혼을 하고 자식들까지 낳으면서는 어른으로서 존중을 해줘야 되는 처지가 되었다. 또 지역은 다르지만 같은 회사를 다니면서 겹치는 일상이 많았는데 작년 봄에 내가 회사를 그만두고 나오면서 이 또한 공통주제에서 떨어져 나갔다. 그러고나니 남은 건 딱 하나, 낚시밖에 없다. 지금이야 잠자리에 누워서도 천장을 바다삼아 낚시대를 드리우지만 지난 봄, 본격적인 낚시를 시작할 때만 해도 남는 시간이나 축내고 집사람 눈을 피하자는 목적이 컸다. 그러한 도피성 낚시에 항상 같이 해준 이가 바로 동생이다. 어려서야 동생이지 아무리 나이 차이가 많이 있..